-
[우리 아이도 자폐가 아닐까?-III]자폐아동을 위한 부모 교육(자폐진단,위험 요인, 자폐검사)- 병원 방문전에 알아두기복지&심리 2023. 9. 12. 00:01반응형SMALL
자폐스펙트럼장애 DSM-5 진단기준
A.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결함으로 현재 or 과거에 다음의 특징이 나타남
(1) 사회적-정서적 상호작용의 결함
소리 내거나, 표현 or 말에서 주고받는 대화의 제한점
예) 감정이나 생각, 관심을 공유하는 것이 점차 감소/사회적 접촉을 시작하거나 반응하는 것에 실패
(2)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해 사용되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결함
눈 맞춤, 가리키기 or 손 흔들기와 같은 몸짓, 웃거나 찡그리는 얼굴 표정의 결여와 같이 사회적 접촉에서 사용되는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의 문제
예) 누군가가 가리키는 곳을 쳐다보지 못함
(3) 관계 발전, 유지 그리고 이해에 대한 결함
예) 아동이 상황에 맞게 행동을 변화시키거나 친구를 사귀거나, 가상 놀이를 공유하는 데 어려움, 또래에 대한 관심 부족
B. 행동, 흥미, 활동의 제한적, 반복적인 패턴이 현재 or 과거에 다음 中 적어도 2개 이상 나타남
(1) 상동적이거나 반복적인 움직임, 물건 사용, 언어
신체 움직임이나 물체의 사용, 말하기가 반복적임
예) 아동이 자주 자기 손을 펄럭거리거나, 소리나 문장을 반복하거나, 동전을 돌리거나, 장난감을 반복 해서 일렬로 세우기도 함
(2) 똑같은 것에 대한 고집, 일상적인 것에 대한 비융통성 or 언어 or 비언어적 행동의 의례적 패턴
예) 작은 변화에도 극도로 고통받거나, 또 다른 활동으로 바꾸는 데 문제가 있거나, 고집스러운 인사법이 있거나, 날마다 같은 음식만 먹고 싶어 함
(3) 강도나 초점에 있어서 비정상적으로 매우 제한되고 고정된 흥미
정상적인 것을 넘어서서 극도로 or 강렬하게 집중하면서 확고하게 고정된 관심을 가짐
예) 아동이 이상한 물체에 애착을 가질 수 있음(예: 진공청소기나 선풍기와 같은)
(4) 감각적인 환경에 대해서 과잉 or 과소 반응
특정한 장면과 소리, 냄새, 감촉, 맛에 대해 큰 반응을 보이거나 아무 반응을 보이지 않음
예) 통증이나 열감 or 냉감에 아무 반응이 없거나 둔할 수 있음/특정 소리나 감촉을 극도로 혐오하거나, 빛이나 동작을 너무 좋아할 수도 있음
C. 이러한 증상은 어린 아동기에 나타남
D. 이러한 증상들은 사회적 · 학업적 · 직업적 or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
E. 이러한 장해는 지적장애나 전반적 발달지연과 같은 또 다른 장애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어야 함자폐진단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의학적 검사]는 아직까지는 X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부모님에게 아이의 발달력을 청취하고 임상 소견을 관찰하는 것이 가장 중요
- 다양한 원인 요소에 의해 자폐가 표현될 수 있으므로 원인 질환이나 동반되는 질환에 대한 의학적 검사(염색체 검사, 대사 검사, 뇌파 검사, 뇌 MRI 등)가 병행되어야 함
- 선별검사지나 선별검사도구: 인지 평가 및 발달 평가, 아동 자폐증 평가 척도, 자폐증 진단관찰 스케줄 (ADOS), 자폐증 진단 면담지(ADI-R) 등이 도움이 됨( 위 검사들은 심리학과를 졸업한 임상심리사들이 실시합니다 / 대부분 병원에서 실시하며 ADOS(에이도스라고 읽습니다), ADI-R을 주로 실시 합니다. ADOS의 경우 1,2 로 나뉘며 신뢰성으로 인해 ADOS-1 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병원에 방문 전 알고 가시면 도움이 되실거라고 생각됩니다. ADOS의 경우 양육자와 면담을 통하여 임상심리사의 임상적 평가를 합니다. ADI-R의 경우 양육자가 실시하는 설문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CBCL, TCI와 비슷하게 양육자가 보신 아동을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시면 됩니다 )위험 요인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것은 없지만, 유전자의 결합 or 변이, 신경생물학적 원인 등으로 뇌 발달상의 장애를 일으킬 수 있음
- 위험 요인
(1) 환경
고령의 부모, 저체중 출산, 임신 기간 동안 산모가 뇌전증과 양극성장애 치료를 위해 밸프로에이트 (valproate) 복용한 경우, 부모의 성격이나 양육방식
(2) 유전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유전도 ⇧ (약 15%에서 유전적 근거가 발견)치료
-자폐스펙트럼장애는 평생 지속되는 장애입니다. 구체적인 치료법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But, 조기에 진단받고 치료를 시작한 아동은 더 좋아질 수 있음
치료가 어려운 이유로는 장애의 증상이 아동의 현재 기능뿐만 아니라 새로운 행동의 학습을 저하하기 때문입니다.
- 대표적인 치료법 : 행동치료(ABA치료가 대표적입니다)
1. 행동치료의 목표는 부적응적 행동 개선입니다.
- 응용행동분석 요법이 흔하게 사용
목표로 하는 행동은 지지하고, 해를 입히거나 학습을 방해하는 행동은 경감시키기 위한 보상의 형태로 구성
- 인내심을 가지고 자폐아의 교육과 치료에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하고 자폐아의 지적 수준과 사회적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해야합니다
-자폐 아동에게 부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전문가의 치료보다는 대부분의 시간을 함께하는 부모의 교육이 좀 더 효과적입니다. 우선 전문가에게 부모가 배울수 있는 자폐아동의 코칭을 받고 많은 부모가 많은 개입을 하는것이 중요합니다.
2. 약물치료
- 핵심 증상(사회적 의사소통 문제, 반복적인 행동)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은 아직 없습니다
- 단,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가진 일부 아동과 성인이 불안장애, 우울장애, ADHD와 같은 다른 장애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그로므로 이 장애들은 정신치료나 약물치료로 호전 가능합니다.반응형LIST'복지&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검사]-부모양육태도검사(PAT)-심리검사(정신건강병원,심리상담센터) (0) 2023.09.13 [심리검사] TCI 검사 소개- 병원, 센터 방문전 알아두기 (0) 2023.09.12 [심리치료]- REBT(합리적 정서적 행동치료) (1) 2023.09.05 [우리 아이도 자폐가 아닐까?-II]자폐아동을 위한 부모 교육 (0) 2023.09.05 [ 불안을 감소시키는 아동 심리치료-II] 부모교육(분리불안,아동불안)-불안한 아동 대처법 (0) 2023.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