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우리 아이도 자폐가 아닐까?]자폐아동을 위한 부모 교육
    복지&심리 2021. 1. 18. 21:58
    반응형
    SMALL

     

    [우리 아이도 자폐가 아닐까?] 자폐아동을 위한  부모 교육

    3살 명서는 하루의 대부분을 보푸라기를 떼며 보낸다. 뗴어낸 보푸라기를 공중에 날리고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계속 보고 있다. 또한 손등을 핥고서 거기에 묻은 침을 계속해서 쳐다본다. 그녀는 아직 말을 하지 못하고 스스로 밥을 먹거나 옷을 입지 못한다. 하루에 여러번 크게 소시를 질러서 처음에 이웃들은 그녀가 학대를 당한다고 생각했다. 그녀는 엄마의 사랑과 돌봄에는 관심이 없어 보이지만 엄마의 손을 잡고 냉장고로 향하기도 한다. 명서는 버터를 먹는 것을 좋아한다. 그것도 덩어리째로 여러 덩어리를 한꺼번에. 명서의 엄마는 명서를 교육하고 적절한 행동을 하게 만들기 위해 버터를 이용한다. 엄마는 버터가 좋지 않다는 것을 알지만 버터는 아이를 이해시키기저나 뭘 하게 만드는 유일한 물건이다.

    이야기를 읽어 보았을 때 자신의 아동과 비슷한 점이 많이 발견이 되었나요?

    자폐스펙트럼 장애, 즉 자폐는 아동이 발달하는 시기에 유의하게 나타나는

    신경발달장애로 특히 가족이나 교사를 걱정하게 만드는 장애입니다.

    그러나 이런문제는 아동기에 끝나지 않고 성인기를

    넘어 평생 지속됨을 기억해주시고 초기에 의심이 되시면 가까운 심리상담 센터를 방문하시기를 바랍니다.

    좀 더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하여 알아볼게요.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대표적인 특징은?

    • 사회적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의 손상

    자폐를 가지는 있는 아동은 대표적인 특징 중의 하나는 발달 연령에 맞는 사회적 관계를 맺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위에 이야기에서는 명서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위해 어른의 손을 끌고 갑니다. 이를 보았을 때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사회적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주고받는 것이 자주 실패하거나 비언어적인 의사소통 그리고 사회적 관계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면 자폐로 진단을 받을 확률이 높습니다.)

     

    • 제한되고 반복적인 패턴의 행동, 관심 또는 활동

    위에서명서는 물건들이 같은 자리에 그대로 있는 것을 좋아한다. 조그만 변화라도 생기면 극도로 짜증을 낼 것입니다. 왜냐하면 자폐아동들은 이러한  자신의 주변 변화들을 굉장히 싫어하기 때문입니다. 

    (자폐아동들은 계속해서 원을 그리며 돌거나, 고개를 한쪽으로 젖히고 계속해서 손을 눈앞에서 움직이는 행동을 하거나, 손을 깨무는 행동과 같은 의식적인 행동을 하며 시간을 보낸다)

     

     

    -자폐아동의 원인

    자폐라는 장애는 하나가 아닌 복잡한 이유에서 나타납니다.

    심리 사회적 원인( 부모의 잘못된 양육, 부모의 성격, 비정상적인 언어 패턴 등)& 

    유전적 영향으로는 자폐장애 아동이 있는 가족 중에 형제자매가 같은 장애를 가지고

    태어날 확률은 20%입니다.(그저 확률에 근거한 연구 결과이니  너무 신경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DSM-5 진단기준(자폐스펙트럼 장애)

    A.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결함으로 현재 또는 과거에 다음의 특징이 나타납니다.

    1. 비상적인 사회적 접근 또는 일반적인 대화의 주고받음의 실패, 흥미나 감정의 공유 감소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개시나 응답 실패와 같은 사회적 감정적 상호작용의 결함
    2. 사회적 상호작용에 필요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결함.(눈 맞춤 실패, 제스처의 이해 결함 등)
    3. 관계 발전, 유지 그리고 이행에 대한 결함. 예를 들어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서 적절한 행동의 어려움(친구 사귀기 , 상상놀이)

    B. 행동 흥미, 활동의 제한적, 반복적인 패턴이 현재 또는 과거에 다음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나타난다.

    1. 상동적이거나 반복적인 움직임, 물건 사용, 언어
    2. 똑같은 것에 고집
    3. 강도나 초점에 있어서 비정상적으로 매우 제한되고 고정된 흥미
    4. 감가적인 환경에 대해서 과잉 또는 과소 반응

    이러한 내용들은 장애를 진단하는 미국 심리학회에서 연구한 결과이니 잘 읽어보시고 아동에 해당이 되면

    빠른 조치가 필요하다고 사료됩니다.

    반응형
    LIST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