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울한 아동의 증상과 치료] 부모교육복지&심리 2021. 1. 25. 11:30반응형SMALL
[우울한 아동의 증상과 치료] 부모교육
우울증은 아동에게 매우 흔한 문제예요
아동의 우울증 징후와 증상들을 인식하는 것은 효과적인 치료계획을 세우는 데 중요합니다.
그러나 우울증은 다양한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한 번에 알 아차리가 가 매우 어려워요
정확하고 균형 잡힌 우울증에 대한 시각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쉽게 말해드릴게요~
우울증의 증상
아동기의 우울증 증상으로는 다섯 가지 영역에서 증상이 보일 수 있습니다.
-기분증상
정서적 증상들은 '우울한'혹은 '슬픈' 기분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러나 슬프거나 우울한 기분이 아니라 짜증을 겪는 우울증 아동도 있는데, 이런 경우 우울증을 알아채기 어렵습니다. 이런 아동의 부모나 교사들은 아동이 화나 있고 예민하고 짜증을 잘 내며 '변덕스러운'상태라고 묘사해요.
또한 우울한 아동은 무망감을 느끼고, 자신의 기분이 좋아지거나 삶이 결코 나이지지 않으리라고 믿습니다.
우울한 아동은 또한 무쾌감증, 다시 말해 쾌락이나 활동에 대한 관심의 감소를 경험합니다.
이 증상은 행동상으로도, 또 정서적으로도 나타납니다.
이전에 즐겼던 게임이나 텔레비전 프로, 취미들에 더 이상 흥미를 보이지 않습니다.
아동은 항상 심심하다고 보고 하든지 "이제는 재미있는 게 하나도 없어요"라고 고백합니다.
무감동, 또래와 시간을 보내는데 흥미가 없음, 타인으로부터의 철수 또한 무쾌감증에 흔히 동반되는 증상입니다.
따라서 친구로부터 초대를 받아도 거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더군다나 우울한 아동은 사회적으로 철수된 행동 때문에 그러한 초대를 받는 일도 드물어요. 따라서 아동의 사회적 접촉은 심하게 위축되고 이는 외로움을 심화시켜요.
다시 말해 우울한 아동들은 보통 아동이라면 의례 열광하는 활동이나 텔레비전 프로, 웃기는 이야기에 대해 흥분을 보이지 않습니다.
-인지적 증상
우울한 어떤 아동들은 내면의 대화로 인해 정신이 산만해지는 듯하다. 주의와 집중력은 아동기 우울증에 의해 영향을 받는 또 다른 이지 영역입니다. 예를 들면 우울한 아동은 치료시간 중의 내용에 초점을 맞추거나 과제를 완수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은 단순해 보이는 의사결정조차도 힘들어합니다. 또한 옳은 선택을 해야 한다는 압박감에 시달리기 쉽습니다.
-행동 증상
우기기, 형제들과 싸우기, 어른에게 말대꾸하기 등의 행동 문제로 의뢰된 아동들을 보면 기분부전을 겪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린 아동들은 자신들이 무엇을 느끼는지 말로 표현하기가 어렵거나 불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9세 이하의 우울한 아동이 품행문제나 외현화 문제로 불편한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흔히 있는 일입니다. 이러한 아동은 또래나 형제를 포함해서 다른 사람들과 잘 지내지 못합니다.
이에 더해서 대인관계로부터의 철수(위축된 사회생활)는 우울증의 또 다른 행동적 징후입니다. 사회적 상호작용의 빈도를 파악하는 것은 친구의 수를 세는 것보다 의미가 큽니다.
우울한 아동들은 어떤 활동을 해도 지루할 것이라고 예상하곤 하는데, 이는 위축과 관련된 것으로 보입니다. 동시에 즐거운 활동에 잘 참가하지 않는 것은 우울한 아동의 고립감과 우울을 지속시키는 데 한몫을 한다.
-생리적 증상
우울증의 미묘한 증후는 탐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주로 신체적인 문제로 비추어지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감정 상태를 말로 표현할 수 없거나 표현하기 꺼려하는 아동들은 반복적인 신체적 호소를 통해 자신이 심리적으로 힘들어한다는 것을 전달합니다. 나이 어린 아동들은 자신의 심리적 어려움을 언어로 표현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청소년에 비해 신체적 호소를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들은 원인 없는 두통과 복통의 신체 문제를 자주 호소합니다. 이런 아동들은 신체적 호소로 결석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우울증을 앓고 있는 아동들은 수면이나 섭식 문제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식욕이 줄고 체중 증가나 감소 혹은 또래에 비해 체중이 늘지 않는 문제를 보입니다.
우울증을 앓는 아동들은 잠들기 어렵고 한밤중에 깨거나 새벽에 다시 잠이 오지 않는다고 호소하기도 합니다. 반대로 어떤 아동은 과도하게 잠을 자기도 합니다.
-대인관계 증상
또래 문제와 또래 거부는 우울한 아동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대인관계 스트레스 요인입니다.
대인관계 문제에는 여러 요인이 관여합니다. 우울한 아동은 사회적으로 위축되어 있고 수줍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자발성을 보이지 않거나 참여하지 않으며, 그 결과 ㄷ또래 관계가 더 줄어듭니다. 이러한 아동들은 더 심한 고림 감을 느끼게 되며 그 결과 깊은 우울감에 빠져듭니다. 특히 나이 든 아동의 경우 눈물을 흘리거나 울면 또래들의 놀림을 받게 되고 더 심하게 고립됩니다. 쉽게 짜증을 내는 것도 또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쉽게 짜증 내거나 비관적인 아동은 주위 아동들이 견디기 힘들어하며 피하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친구관계의 부족은 우울 증상의 위험요인이고 친구가 있는 것은 보호요인인 것으로 나타났기 떄문입니다.
반응형LIST'복지&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인식개선] 장애의 수용 단계 & 생애주기 (0) 2021.01.27 [아동들의 문제행동을 위한 기술] 인지 및 행동 기법 (0) 2021.01.26 [심리치료에 필요한 아동의 감정 파악하기] 부모교육 (0) 2021.01.24 [성인 심리치료 vs 아동 심리치료] 부모가 알아야하는 차이점 (0) 2021.01.23 [정신분열증?정신장애?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정신장애 ] 정확한 조현병 이란? (0) 2021.01.21